
- 소개
- 학술원사람들
- 교수진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 박사(2012. 08)
-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 박사(2000. 02)
-
홍익대학교 미술사 석사(1996. 08)
-
이화여자대학교 한시 석사(1990. 08)
-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사 (1988. 02)
약력/경력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2017~현재)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 (2015~2017)
-
U of Chicago,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객원연구원 (2004~2006)
학술지 논문
-
(2022)
채용신(蔡龍臣)의 화조화(花鳥畵) 고찰을 통한, 근대기 화조화 수요(需要)의 성향에 대한 제언 -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채용신 필 《화조도8폭병》을 중심으로.
한국민화.
1,
17
-
(2022)
Figurative Shaping of Peaks and Rocks on Geumgang Mountain: The Korean Temperament and Vision.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80,
3
-
(2022)
尹德熙(1685~1776)의 <책 읽는 여인>에 나타나는 젠더의 특성.
대동문화연구.
1,
118
-
(2021)
한국미술사 연구(2019~2020년)에 대한 회고와 전망, 그리고 제언.
역사학보.
1,
251
-
(2021)
A Mid-Spring Night's Dream: Collecting Poems for A Dream Journey to Peach Blossom Spring.
ACTA KOREANA.
24,
1
-
(2021)
Meritorious Heroes: Allegorical Hawk Paintings in Yuan China and Early Choson Korea.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21,
1
-
(2021)
시축을 위한 몽유도원도.
대동문화연구.
-,
114
-
(2021)
조선 왕실 繪畵의 ‘公共性’―民을 그린 그림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90
-
(2020)
식물 이미지의 정치성(政治性), ‘세한삼우(歲寒三友)’와 ‘매죽(梅竹)’.
미술사학보.
-,
55
-
(2020)
謙齋 鄭敾, 그 名聲의 근거 검토.
대동문화연구.
-,
109
-
(2020)
그림으로 그려진, 한국 고전 시문학.
한국시가연구.
49,
-
-
(2019)
19세기 ‘地球’와 ‘世界’에 대한 시각적 인식- 集玉齋 수입서적 地球說略을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
11,
2
-
(2019)
申緯의 감각과 申命衍의 色彩.
한국한문학연구.
75,
-
-
(2019)
조선시대 모사(摹寫)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동양예술.
43
-
(2019)
波濤그림과 活水이론이 엮은 회화사.
한국한문학연구.
73
-
(2019)
19세기 금강산도의 일면 - 개인소장 ‘금강산도 10폭병풍’ 고찰.
온지논총.
1,
58
-
(2018)
繪畵를 통한 古典文學 학습, 그 효과와 의미.
고전문학연구.
53
-
(2018)
문학과 회화가 공유했던, 개의 의미-‘鷄犬’, ‘金鈴犬’, ‘梧桐吠月’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55,
55
-
(2018)
繪畵史의 관점에서 보는 申叔舟의 시문— 「畵記」와 題畫詩文를 중심으로 —.
온지논총.
54
-
(2017)
역사적 인물에 대한 기억과 도상.
대동문화연구.
100
단행본
-
(2022)
예술의 주체.
아트북스.
주저자
-
(2021)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
아트북스.
주저자
-
(2020)
고전과 경영.
아트북스.
단독
학술회의논문
-
(2021)
조선시대 문헌기록으로 살피는 고사인물도의 전개.
제 10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술원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
(2021)
문화유산으로서의 관동팔경도 자연 문화 산업을 엮는 문화자본.
강원학대회.
대한민국
-
(2021)
화룡기우제 그림의 주술력으로 재난을 극복하다..
2021 미술사학대회.
대한민국
-
(2021)
구곡도의 문학적 형상화.
2021년 특별전 연계 학술심포지엄.
대한민국
-
(2019)
겸재 명성의 증거.
한국회화연구, 대가의 탄생 명작의 발견 미간행발표지.
대한민국
-
(2019)
조선시대 18 19세기의 화론에서 중시된 기와 예.
유교문화연구소 60주년학술대회 백가쟁명 발표집.
대한민국
-
(2019)
문헌으로 살핀 19세기의 색채인식.
계명대학교 한국 민화연구소 11회 학술대회 - 학술세미나발표집(미간행).
대한민국
-
(2019)
19세기 문인이 그린 화훼의 의미.
학술회의명 추사학술대회 게재지 - 추사박물관학술총서13.
대한민국
-
(2019)
신위의 감각과 신명연의 색채.
2019년 한국한문학회 하계학술대회 (학술회의명) 게재지- 한국한문학연구.
대한민국
-
(2019)
骑牛吹笛 圖像的發展態勢與意義.
동아역사문화적전승 -9회 중국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학술회의 -미간행발표지.
중국
-
(2018)
물의 의미와 형상화.
한국한문학회.
대한민국
-
(2018)
금강산의 형상화와 의미에 대한 탐구.
온지학회.
대한민국
-
(2018)
민화의 연구방향.
한국민화연구소 제 10회 학술세미나.
대한민국
-
(2018)
안평대군의 몽유도원, 그 착상과 결실.
안평대군 탄생 600주년 기념학술대회, 안평대군과 몽유도원도.
대한민국
-
(2018)
문학과 회화가 공유한 개의 형상.
한문학 속의 개의 상징과 담론.
대한민국
-
(2018)
Symbol of Loyalty, Hawk Paintings in the Joseon Korea and the Yuan China.
동아시아역사상의 권력과 질서.
대한민국
-
(2018)
회화를 통한 고전학습, 그 의미와 효과.
고전문학과 예술교육 -고전문학연구.
대한민국
-
(2017)
신숙주와 15세기회화사.
보한재 신숙주선생 다시 보다.
대한민국
-
(2017)
민화 연구의 역사와 전망.
민화학회.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