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학술원사람들 교수진
관심분야
고대동아시아사(중국사)
출토문헌자료연구
학력
2000.2-2001.2 :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
1999.08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석사/박사
1986.02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약력/경력
2019.1-2019.12 : 중국고중세사학회 회장
2017.7-2021.6 : 한국학연계전공 주임교수
2020.10-2021.7 : 동아시아학술원 부원장
2021.8-현재 : 동아시아학술원 원장
2018.1-2018.12 : 중국고중세사학회 부회장
2017.9-2021.6 : 성균관대학교 한국학연계전공 주임교수
2015.1-2016.12 : 한중인문학포럼 실무위원
학술지 논문
(2023)
해외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시각과 연구 지평의 확대.
사림.
83
(2021)
湖南 簡帛과 古典學 硏究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長沙 馬王堆 漢墓 帛書를 중심으로-.
동서인문.
-,
17
(2021)
前漢時期 西域 境界를 왕래한 使者들 ― 『敦煌懸泉置漢簡』 기사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61
(2020)
‘資料’ 연구로 본 동아시아학술원 20년 ― 戶籍과 簡牘 자료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
112
(2019)
Populariz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Western Han and the Discovery of the Qi Lun: With a Focus on the Bamboo Slips Unearthed from the Haihunhou Tomb.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9,
2
(2019)
出土資料를 통한 秦代 社會의 새로운 이해.
중국사연구.
121,
(2019)
漢代 西北邊境 私信의 構造와 주요 내용 ― 居延・敦煌 漢簡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53,
53
(2019)
漢晋時期書籍的普及與東亞社會.
南都學壇.
39,
4
(2018)
居延漢簡에 보이는 前漢時期 河西邊境의 情況.
중국사연구.
117
(2018)
전한시기 『논어(論語)』의 전파와 그 내용-새로운 출토문헌 『논어』의 『제론(齊論)』설과 관련하여-.
역사와 현실.
107
(2017)
同一한 史實, 相異한 記錄― 秦 始皇帝 死亡과 胡亥 繼位 기사를 中心으로.
대동문화연구.
100
(2017)
秦 始皇帝의 死亡 및 秦의 滅亡과 관련한 또 다른 문헌―{北京大學藏西漢竹書(參)} 「趙正書」 譯註考―.
중국고중세사연구.
46
(2017)
한국학계의 ‘고대 동아시아 簡牘자료’ 연구하기.
대동문화연구.
99
(2017)
古代 東아시아 社會에서의 ‘同[共存]’과 ‘異[對立]’ -漢代 邊境支配 秩序를 中心으로.
역사와 세계.
51,
(2017)
出土文獻<<論語>>在古代東亞社會中的傳播和接受.
史學集刊.
170,
(2017)
前漢 海昏侯 劉賀 墓의 性格과 『論語』 竹簡.
사림.
60
(2016)
秦漢法律簡牘의 內容과 그 성격
― {嶽麓書院藏秦簡}(參) ․ (肆)의 내용 분석을 겸하여―.
중국고중세사연구.
42
(2016)
競爭하는 貨幣 ― 秦․漢初 社會 性格의 理解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39
(2015)
秦ㆍ漢初의 法律 繼承과 寬刑化 - 儒家的 性格을 중심으로 -.
중국사연구.
97
(2014)
4-6世紀 중국에서의 文獻 流通의 배경과 동아시아 사회로의 확산.
대동문화연구.
88,
단행본
(2022)
한국역사 근현대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21)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년사.
성균관대 출판부.
공동
(2020)
역주 중국정사 조선전2 [진서-신오대사 고구려 발해].
동북아역사재단.
공동
(2020)
한국역사 : 전통편.
성균관대출판부.
공동
(2019)
涼州文化與絲綢之路 國際學術硏討會 論文集.
중국사회과학출판사.
공동
(2018)
고전학의 새로운 모색.
성균관대 출판부.
공동
(2018)
Routledge of Handbook of Early Chinese History :.
Routledge Press.
공동
(2017)
How Shall We Study East Asia?.
JIMOONDANG.
공동
(2017)
간독이란 무엇인가?.
성균관대학교 출판사.
단독
(2017)
동아시아 역사상 문화교류와 상호인식.
성균관대출판부.
공동
(2017)
동아시아로부터 생각한다.
성균관대출판부.
공동
(2017)
인간 시황제.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단독
(2016)
문자의 발견 역사를 흔들다.
너머북스.
주저자
(2015)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변화.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단독
(2013)
中國古代法律文獻硏究(제7집).
社會科學文獻出版社.
공동
(2013)
東アジア資料學と情報傳達.
汲古書院.
공동
(2013)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재발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13)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주저자
(2012)
甘肅省第二屆簡牘學 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上海古籍出版社.
공동
(2012)
漢帝國的制度與社會秩序.
OXFORD UNIVERSITY PRESS(CHINA).
공동
수상/공훈
중국고중세사학회 회장
동양사학회 총무이사
한국목간학회 연구이사
학술회의논문
(2020)
前漢代 儒敎의 國敎化와 [論語]의 傳播.
東아시아 '論語'의 전파와 桂陽山城.
대한민국
(2019)
湖南簡帛與古典學的新可能性探索.
東亞古典學與湖湘文化 학술회의.
중국
(2019)
简帛研究与古代东亚社会的新理解.
首届中日韓出土簡牘研究國際論壇暨第四届簡帛學的理論與實踐學術研討會.
중국
(2019)
汉代西北边境出土简帛私信的性质与主要内容.
中国北方民族历史文化学术研讨会暨第二届乌桓鲜卑文化学术研讨会.
중국
(2019)
秦漢、魏晉時期書籍的普及與東亞社會.
第九届中韩学术年会 东亚历史文化的传承.
중국
(2018)
前漢出土文獻《論語》的普及與《齊論語》的發現
- 以海昏侯劉賀墓出土《論語》竹簡為中心.
第四屆簡帛學國際學術研討會暨謝桂華先生誕辰八十周年紀念座談會.
중국
(2018)
通過簡牘資料看西漢河西邊境情况與對策.
凉州文化与丝绸之路国际学术研讨会.
중국
(2017)
同样的史实,不同的记录
― 以有关秦始皇之死与胡亥继位的记录为中心 ―.
중국간백학국제논단2017 : 신출토전국진한간독연구.
중국
(2017)
古代東亞社會的“同[共存]”與“異[對立]” ——以漢代邊境支配秩序為中心——.
第七屆中韓學術年會 : 東亞的傳統秩序與演變.
중국
(2017)
전한 해혼후 유하묘 발굴 <<논어>>죽간과 유학의 보급.
중국 전통사회의 형성과 발전.
대한민국
(2017)
한국에서 동아시아 출토자료(簡牘) 연구하기.
동아시아 ㅍ출토자료 연구의 현재와 미래.
대한민국
(2016)
西漢海昏侯劉賀墓的《論語》竹簡與儒學普及.
簡牘與戰國秦漢歷史.
홍콩
(2016)
出土文獻《論語》在古代中國的內容和展開.
2016北京論壇(BEIJING FORUM 2016).
중국
(2016)
東亞的‘東北’與‘遼東’是共存的空間嗎?.
東亞文化傳統與現代創新.
중국
(2016)
東漢中後期西北邊吏的性質--以《曹全碑》的記事爲中心.
絲綢之路墍秦漢時期古原區域文化國際學術硏討會.
중국
(2016)
지배수단으로서의 호적- 고대 동아시아 호적류 출토자료의 기초적 이해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공동 주관 학술회의.
대한민국
(2016)
海昏侯劉賀墓的發掘與西漢儒學普及.
南昌海昏侯墓發掘墍秦漢區域文化 國際學術硏討會.
중국
(2015)
東亞資料學與簡帛學的關系.
簡帛學的理論與實踐學術硏討會.
중국
(2015)
從《居延漢簡》看西北邊境吏卒日常生活.
제3회간백학국제학술연토회.
중국
(2015)
東亞出土資料戶籍及主要內容.
全球化背景下的東亞人文社科硏究.
중국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