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개
- 학술원사람들
- 교수진
학력
-
(Ph.D.) (일)동경대학교 동아시아역사사회학 박사
약력/경력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부 시간강사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연구원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교수
-
現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교수
학술지 논문
-
(2020)
20세기 전반 농촌 가족의 거주이동 ― 계층성과 혈연성의 관점에서.
대동문화연구.
-,
112
-
(2020)
17세기 奴婢戶의 호적등재 ― 조선왕조 재정의 관점에서.
대동문화연구.
110
-
(2020)
조선후기 거주이동과 혈연적 연대의 관계 -단성지역 합천이씨 가계들의 호적과 족보 분석을 통해-.
韓國史學報.
79
-
(2019)
Joint families in Korean rural society, 1690-1861.
HISTORY OF THE FAMILY.
25,
1
-
(2018)
戶籍과 族譜의 자료적 특성과 연구방법 ― 17C~20C 초 丹城地域 培養洞 陜川李氏들을 추적하며.
대동문화연구.
102
-
(2017)
조선왕조의 호적과 재정 기록에 대한 재인식 - 인구와 가족의 경제수준 추적과 관련하여.
역사학보.
234
-
(2017)
冊封體制下에서의 ‘國役’ ― 朝鮮王朝 재정시스템의 특징과 관련하여 ―.
사림.
59
-
(2016)
산 자와 죽은 자의 기재-戶籍과 族譜에 대한 역사인구학의 관점-.
조선시대사학보.
-,
79
-
(2016)
18~19세기 지방재정운영에 있어 자율적 납세조직의 활동.
韓國史學報(한국사학보).
65
-
(2016)
琉球王國과 朝鮮王朝 族譜의 비교연구.
대동문화연구.
94
-
(2015)
20세기 초 한국의 族譜 편찬과‘同族集團’ 구상 ― 경상도 丹城地域 安東權氏 몇 가계의 사례.
대동문화연구.
91
-
(2015)
조선왕조의 戶籍과 통치체계.
동양사학연구.
131
-
(2015)
Family strategy of economic inequality among brothers in Korean rural society, 1690-1795.
HISTORY OF THE FAMILY.
20,
-
(2014)
18·19세기 단성호적 가족복원을 통한 혼인·출산의 계층성 분석.
한국문화.
67
-
(2014)
정약용의 재정개혁론 -지방재정에 대한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7
-
(2014)
20세기 전반의 족보편찬 붐이 말하는 것.
사림.
47
-
(2013)
조선후기 재정제도 변화의 이념적 지속성.
역사와 현실.
90
-
(2013)
Rural migration in Korea: a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HISTORY OF THE FAMILY.
18,
4
-
(2013)
시카타 히로시(四方 博)의 조선시대 ‘인구・가족’ 연구에 대한 재검토.
韓國史學報.
52
-
(2013)
1900년대 「光武戶籍」의 ‘士’와 「民籍」의 ‘兩班’ 기재.
대동문화연구.
81
단행본
-
(2020)
국가의 인구 관리, 옛날과 오늘.
은행나무.
단독
-
(2020)
조선왕조의 호적,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위하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주저자
-
(2018)
19세기 지방재정 운영.
경인문화사.
단독
-
(2017)
how shall we study east asia.
지문당.
공동
-
(2017)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
너머북스.
공동
-
(2017)
동아시아로부터 생각한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공동
-
(2016)
근대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공동
-
(2016)
한국 역사인구학연구의 가능성.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주저자
-
(2015)
조선시대사(1); 국가와 세계.
푸른역사.
공동
-
(2013)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
성균관대학출판부.
주저자
-
(2013)
임술민란과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
성균관대출판부.
주저자
-
(2013)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士.
성균관대학출판부.
주저자
-
(2012)
인류 사분의 일 - 맬서스의 신화와 중국의 현실, 1700~2000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주저자
수상/공훈
-
수선사학회 감사
-
조선시대사학회 연구이사
-
고려사학회 연구이사
-
한국고문서연구회 연구이사
-
인물사연구회 윤리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