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 home
  • 소개
  • 학술원사람들
  • 교수진

소개

교수진

  • 교수 조선시대경학
  • 이영호

관심분야

한국경학 
동아시아 사상

학력

  • (Ph.D.)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2000)

약력/경력

  • 2002-2003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
  • 2004-2011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 2011-현재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교수

학술지 논문

  • (2022)  한국에서 『대학』 번역의 양상에 관한 고찰.  동양한문학연구.  61,  1
  • (2020)  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112
  • (2020)  창계 임영의 因文入道論 고찰.  민족문화.  56, 
  • (2018)  Spirit of Confucianism and Characteristics of Zhu Xi Learning in Choson Korea, Focusing on Confucius, Zhu Xi and Yi Hwang.  Taiwa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5,  2
  • (2018)  Energy–environment–society relations in early modern Korea: Lessons learned from the electrification of Seoul, 1876–1905.  ENERGY & ENVIRONMENT. 
  • (2018)  <<서경>><홍범> 해석의 두 시각, 점복과 경세- 이휘일·이현일의 홍범연의 분석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143
  • (2018)  경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조선경학에서의 ‘古’의 지향-조선 논어학의 중요개념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55,  55
  • (2018)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모색 ―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101
  • (2018)  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54,  54
  • (2017)  密庵 李栽 문파의 사상적 성향.  동방한문학.  71
  • (2017)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한국유학 연구동향과 그 의미.  퇴계학보.  141
  • (2017)  의당 박세화의 경학과 그 의미.  양명학.  46
  • (2017)  南軒學의 수용을 통해 본 寒岡學의 새로운 이해-寒岡 鄭逑의 論語學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50,  50
  • (2016)  조선 경학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실학파 경학 -정약용의 경학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32
  • (2016)  공자와 부처 : 논어 주석사적 전통에서 바라본 유교와 불교의 교섭양상.  양명학.  44
  • (2016)  다산 『대학』 해석의 경학사적 위상.  동양철학연구.  00,  86
  • (2016)  조선후기 위고문의 옹호와 한문학에 미친 영향.  동방한문학.  66
  • (2015)  心山과 艮齋 門人들의 出處是非論爭을 통해 본 일제하 유교지식인의 초상.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42,  42
  • (2014)  朝鮮의 朱子文集 註釋書와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  88
  • (2014)  유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조선주자학과 퇴계학의 의미.  양명학.  39

단행본

  • (2023)  논어 천년의 만남.  궁리.  단독
  • (2021)  한국당쟁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주저자
  • (2020)  박세당 사변록 연구.  태학사.  주저자
  • (2020)  퇴계 선생 수간.  한국국학진흥원.  단독
  • (2020)  제10,11회 중국경학국제학술회의 연토회 논문선집.  만권루.  주저자
  • (2020)  중국경학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주저자
  • (2019)  동아시아의 논어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단독
  • (2018)  고전학의 새로운 모색.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 (2018)  의당 박세화의 학문세계.  대유출판사.  공동
  • (2017)  How Shall We Study East Asia?.  JIMOONDANG.  공동
  • (2017)  국역 사용보감.  한국국학진흥원.  단독
  • (2017)  경설유편(해제).  한국국학진흥원.  단독
  • (2017)  주자학의 고전, 그 조선적 해석과 실천.  점필재.  공동
  • (2017)  동아시아로부터 생각한다.  성균관대출판부.  공동
  • (2016)  왕부지의 중용읽기.  성균관대출판부.  주저자
  • (2016)  조선의 양명학.  성균관대출판부.  주저자
  • (2016)  근대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성균관대출판부.  주저자
  • (2015)  여헌학의 이해.  예문서원.  주저자
  • (2015)  유교의 이단자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주저자
  • (2015)  제3회 고전문학 논문집.  동오대학 출판사.  주저자

수상/공훈

  • 한국경학학회 부회장
  •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학술회의논문

  • (2020)  점복과 경세 : 조선주자학파 경세학의 신양상.  제7회 한중유학교류대회.  대한민국
  • (2020)  창계 임영의 학문과 경학.  창계 임영의 생애와 사상.  대한민국
  • (2019)  순암의 경학관과 역학의 일면.  순암 안정복 경학의 재인식.  대한민국
  • (2019)  남송호상학파 장식과 조선퇴계학파 정구.  동아고전학과 호상문화 학술회의.  중국
  • (2019)  대학 해석의 역사와 그 번역의 문제.  한국 경부 번역의 현황과 전망2.  대한민국
  • (2019)  대학장구 정심장의 주자주 '찰'에 관한 조선학자들의 변석.  조선시대 경학사상사에 대한 문화다원론적 비판 연구.  대한민국
  • (2018)  조선 경학 논저의 회집과 전산화.  제2회 유가경전의 지역전파와 해석 국제학술대회.  홍콩
  • (2018)  중화권의 퇴계학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퇴계학의 독자성 문제.  퇴계의 주자학 수용과 퇴계학 형성.  대한민국
  • (2018)  경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조선 경학에서의 고의 지향.  조선시대 경학사상사에 대한 문화다원론적 비판연구.  대한민국
  • (2018)  디지털 경전주석학.  한국고전학의 새로운 모색.  대한민국
  • (2017)  홍범연의의 경학적 특징과 그 위상.  조선시대 영남학파의 통치이념과 현실인식.  대한민국
  • (2017)  이탁오의 논어학을 통해 본 양명학파 경학의 경학사적 의의.  제10회 중국경학국제학술회의.  대만
  • (2017)  조선유교지식인의 인간 이해의 세 유형.  제4회 고전문학 국제학술회의 연토회.  대만
  • (2017)  경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조선경학의 탄생과 갈래들.  17-19세기 지식, 정보의 계보와 빅데이터.  대한민국
  • (2016)  의당 박세화의 경학과 그 의미.  한말 의당학파의 학맥과 전개.  대한민국
  • (2016)  정약용과 심대윤의 경학과 조선후기 실학파 경학.  경학의 원류와 창신.  대한민국
  • (2016)  중국과 대만의 한국유학연구동향.  동아시아 관점에서의 한국학 연구, 그 현황과 전망.  대한민국
  • (2016)  중국 양명학파 경학의 일면.  한문학과 한국경학의 접점과 동아시아작 지평.  대한민국
  • (2015)  동아시아에서 한국유학연구에 관하여-대만,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유가도통과 민주공화.  대만
  • (2015)  주자학의 성리담론에서 벗어나다.  2015 AKSE.  독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