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학술원사람들 교수진
약력/경력
고려대학교 강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現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교수
학술지 논문
(2022)
‘새로운 민중사’ 이후 민중사 연구의 진전을 위하여 - 19세기 말~20세기 초를 중심으로 -.
역사문제연구.
26,
2
(2020)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대동문화연구.
112
(2020)
1894년 동학농민군의 천안 세성산 전투와 역사적 의의.
역사와 담론.
96
(2020)
이이화의 삶과 민중사연구.
역사비평.
131,
(2019)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과 여성의 참여.
역사교육.
152
(2018)
동학에서 보이는 ‘전통’과 새로운 사유.
민족문화논총.
70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들 - 가능성과 문제.
역사학보.
239
(2018)
한반도의 오늘, 한말의 경험에서 생각한다―국제질서 인식의 자율성·냉철성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124
(2017)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과 유교.
역사학보.
236
(2017)
Popular Movements and Violence in East Asia in the Nineteenth Century: Comparing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their Legitimation.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7,
2
(2016)
‘탈근대론’과 근대중심주의.
민족문학사연구.
62
(2016)
‘근세’ 동아시아의 정치문화와 직소.
역사비평.
117
(2016)
정창렬의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내용과 의의.
한국인물사연구.
26
(2016)
동학농민군의 <무장기포>와 <무장포고문>에 대한 이해의 변천과정 고찰.
역사와 담론.
79
(2016)
1880~90년대 동학의 확산과동학에 대한 민중의 인식-유교 이념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77
(2015)
1894년 무안 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古幕浦 전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85
(2015)
『동학사』의 제1차 동학농민전쟁 전개과정에 대한 서술 내용분석.
한국사연구.
170
(2015)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내재적 접근.
역사비평.
110
(2014)
19세기 향촌사회질서의 변화와 새로운 공론의 대두-아래로부터 형성되는 새로운 정치질서-.
조선시대사학보.
71,
(2014)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 역사인식의 천망(天網)인가— 송호근, 『시민의 탄생』(민음사, 2013)에 부쳐 —.
개념과 소통.
14,
단행본
(2021)
동학농민혁명 2차봉기와 동학농민군 서훈.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공동
(2021)
동해포구사 2 : 사람·문화.
민속원.
공동
(2021)
<동아시아의 근대 장기지속으로 읽다(19세기의 동아시아 5)>.
너머북스.
공동
(2021)
고창군의 동학농민혁명과 현재적 계승.
고창군·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공동
(2020)
비교와 연동으로 본 19세기의 동아시아.
너머북스.
공동
(2017)
How Shall We Study East Asia.
Jimoondang International.
공동
(2017)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
너머북스.
공동
(2017)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 역사의 길목에 선 동아시아 지식인들.
너머북스.
공동
(2017)
동아시아 역사상 문화교류와 상호인식.
성균관대출판부.
공동
(2017)
백성성립: 일본 근세 농민의 위상과 농가 경영.
성균관대 출판부.
공동
(2017)
동아시아로부터 생각한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17)
쟁점한국사(근대편).
창비.
공동
(2017)
민중경험과 마이너러티: 동아시아 민중사의 새로운 모색.
경인문화사.
공동
(2016)
근대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16)
동아시아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15)
日韓民衆史硏究の最前線.
有志舍(東京).
공동
(2015)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
너머북스.
주저자
(2015)
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단독
(2014)
동학농민혁명과 전북.
흐름.
공동
(2014)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2.
소명출판.
공동
수상/공훈
동아시아 민족운동사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회의), 독립관, 2008.11
경계에 선 민중, 새로운 민중사를 향하여,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학술회의), 2009. 12
1894년, 조선과 동아시아역사상의 재조명- 갑오개혁, 청일전쟁, 동학농민전쟁-,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학술회의), 2011. 7
학술회의논문
(2022)
최근 조선시대사 연구의 역사인식과 새로운 방향 모색.
21세기의 눈으로 본 조선시대.
대한민국
(2022)
동학농민군의 생각에 대한 새로운 이해-무장포고문을 중심으로-.
2022 고창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민중사에서 전통과 근대(767-86).
<대전환의 시대, 한국 학문의 미래: 한국 민중사 연구의 현황과 사회적 쓸모>(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 페스티벌).
대한민국
(2021)
전환의 시대, “민중사”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정기심포지엄 : ‘새로운 민중사’ 제안으로부터 10년, 민중사로 다시 쓰는 전환기의 한국근현대사.
대한민국
(2021)
동학농민혁명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해월 최시형 묘소 경기도문화재 지정 기념 2021 동학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
동학과 동학농민군의 생명관사회질서 인식.
한국 근대 전환기 ‘지역공동체’의 역동과 재난 대응.
대한민국
(2021)
동학농민군의 일본 인식과 일본의 침략에 대한 항거.
동학농민전쟁의 민족운동사적 성격 검토.
대한민국
(2021)
민중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과 공동성(共同性).
한국 근대 전환기의 공동성(共同性)과 재난.
대한민국
(2021)
C-19의 팬데믹과 새로운 역사 이해: 동아시아의 경험에서 생각하다.
재난인문학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한민국
(2020)
동학농민군의 국제질서에 대한 인식.
국가기념일 제정 1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동학농민혁명에 묻다” : 19세기 말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문화로 본 동학농민혁명.
대한민국
(2020)
‘근대’ 전환기 민중운동과 ‘민주적’ 질서의 향방-민중운동의 민회와 갑오개혁의 향회를 중심으로-.
근대전환기 국가 권력과 사회 질서.
대한민국
(2020)
19世纪东亚民间宗教与女性参与.
16世紀以来的東亞社會與女性.
중국
(2019)
천안 세성산 전투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
동학농민혁명125주년기념 천안세성산전투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茂長起包의 주요 사료와 역사적 의의.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의 사적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
대한민국
(2019)
동학농민혁명 연구현황과 미래가치화.
동학농민혁명- 현재와 미래, 어떻개 할 것인가.
대한민국
(2019)
1894년 日本軍의 侵略과 東學農民軍의 反日鬪爭.
제2회 조선반도연구 국제학술회의: 역사분과-일본의 침략역사와 조선인의 투쟁.
중국
(2019)
동학농민전쟁을 통해 다시보는 근대.
From the French Revolution to the ‘Candlelight Revolution’: Toward a Global History of Revolutions.
대한민국
(2019)
朝鲜的儒教政治文化与现代的传承.
동아시아 역사 문화의 전승(東亞歷史文化的傳承).
중국
(2018)
동학농민군의 생각·행동과 공동체 정신.
전라도 공동체의 뿌리와 정신.
대한민국
(2018)
동학에서 보이는 ‘전통’과 새로운 사유.
19세기 이후 영남 지식인의 신학문과의 조우.
대한민국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